정의

싱글턴(singleton)은 오직 하나의 객체만을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싱글턴 패턴을 사용하면 쉽게 객체의 유일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싱글턴 객체에 대한 참조를 public static 필드나 public static 메서드로 노출하므로 어디에서나 싱글턴 객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구현

public static final 필드

객체가 오직 하나만을 보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정적(static) 필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정적 필드를 사용하면 모든 객체가 공유하는 필드를 만들 수 있으며, 한 번만 생성되고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
}

하지만 이것으론 부족합니다. 외부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필드에 다른 객체가 할당되거나, 이미 할당했는데 싱글턴 내부에서 다시 객체를 할당하는 실수가 없도록 final로 선언해야 합니다. 그리고 외부에서 생성자를 통해 객체를 생성할 수 없도록 생성자의 접근 범위를 private로 제한해야 합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ublic static final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

	...
}

// 혹은 ...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
}

이러면 외부에서 아래와 같이 정적 필드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생성자의 접근 범위가 private이기 때문에 생성자로는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
// Singleton obj = new Singleton(); (X)

// INSTANCE는 final로 선언되었기 때문에 외부에서 다시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Singleton.INSTANCE = null; (X)

// 외부에서 정적 필드로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다.
Singleton.INSTANCE.service();

// 혹은...
Singleton obj = Singleton.getInstance();
obj.service();

지연 초기화(lazy initialization)

혹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Singleton.getInstance() 메서드 호출 시점에 정적 필드가 아직 초기화되지 않았으면 객체를 생성하고, 그 후에는 전에 생성한 객체의 참조(reference)를 그대로 반환합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instance;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ingleton();  
        }  
        return instance;  
    }  
}

덧붙이자면, 사실은 여기에서 지연 초기화로 분류되지 않은 다른 방법들도 따지고 보면 지연 초기화처럼 동작합니다.

스레드 안전(thread safe)

여기서 주의할 점은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위와 같은 초기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스레드 안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Singleton.getInstance()를 동시에 호출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싱글턴 패턴으로 객체가 유일함을 보장하려고 했으나 위와 같이 스레드가 서로 다른 객체의 참조를 가지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동기화를 해주어야 합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instance;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ynchronized Singleton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ingleton();  
        }  
        return instance;  
    }  
}

하지만 이 방법은 정적 필드가 초기화된 후 싱글턴 객체를 얻으려고 할 때 불필요하게 동기화가 일어나므로 성능이 걱정된다면 다음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블 체크 락킹(Double-Checked Locking)

여기서 객체가 올바르게 생성된 이후에는 별다른 수정 작업 없이 참조를 반환하는 작업만 있으므로 동기화 범위를 다음과 같이 줄일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instance; // (1)
  
    private Singleton() { }  

	// 코드가 다소 장황하지만 동기화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으므로 성능 이점이 있다.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 동기화 블록은 한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다.
			synchronized (Singleton.class)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ingleton();
				}
			}
		}
		return instance;
	}

	...
}

코드만 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 같지만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는 직관을 벗어나는 동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가 최적화라는 명목으로 연산의 순서를 변경(reordering)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래머는 이를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는 알아차릴 수 없지만 멀티 스레드 환경으로 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if (instance == null) { // (1)
	synchronized (Singleton.class) { // (2)
		if (instance == null) { // (3)
			instance = new Singleton(); // (4)
		} // (5)
	} // (6)
} // (7)
return instance; // (8)

한 스레드가 4번에서 싱글턴 객체를 위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참조를 instance에 저장한 후에 싱글턴 객체의 생성자에서 내부 상태 초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봅시다. 이렇게 초기화하고 있는 도중에 1번으로 다른 스레드가 들어와서 null이 아님을 확인하고 초기화 중인 객체 참조를 그대로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올바르게 초기화되지 않은 객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고 문득 '객체의 초기화가 완전히 끝난 다음에야 그 객체에 대한 참조가 instance에 저장되는 게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론 동기화 블록 내부에서 컴파일러로 인해 재배열이 일어나므로 다르게 동작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연산 순서가 뒤바뀌더라도 (단일 스레드에서는) 프로그래머가 관찰할 수 있는 결과는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는 위의 코드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므로 이런 최적화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volatile Singleton instance; // (1)

	...
}

바로 위와 같이 instance 필드를 volatile로 선언하는 것입니다. 이 키워드를 사용하여 instance 필드에 값을 쓸 때 이러한 재배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컴파일러에게 지시할 수 있습니다(물론 volatile은 그 이상의 일을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volatile Singleton instance;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synchronized (Singleton.class)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ingleton();
				}
			}
		}
		return instance;
	}

	...
}

요청 시 초기화 홀더 패턴(Initialization-on-demand holder pattern)

이 방법은 홀더 클래스를 사용해서 지연 초기화를 구현합니다. 더블 체크 락킹보다 더 단순하며 안전하기까지 합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ingleton() { }
    
    private static final class Holder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Holder.INSTANCE;  
    }

	...
}

어떻게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Holder.INSTANCE는 결국엔 즉시 초기화를 장황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아닐까요? 물론 아닙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초기화가 언제 일어나는지 알고 있어야 하는데, 아래 내용은 JLS 12.4.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타입 T는 다음 중 하나가 처음 일어나기 직전에 초기화됩니다.

- T는 클래스이며 T의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 T에 선언된 정적 메서드가 호출된다.
- T에 선언된 정적 필드가 할당된다.
(추가: 예를 들어서 외부에서 공개된 정적 필드에 값을 할당하는 등이 있다.)
- T에 선언된 정적 필드가 사용되며 이때 이 필드는 상수 변수가 아니다.
(JLS 4.12.4: 상수 변수는 상수 표현식으로 초기화된 기본 타입이나 String 타입의 final 변수를 말한다.)

따라서 Holder 클래스에 선언된 정적 필드인 INSTANCE가 사용될 때 Holder 클래스의 초기화가 일어납니다. 즉, 위의 예시에서는 런타임에 Singleton.getInstance()를 호출하여 Holder.INSTANCE을 사용하기 전에 클래스로더를 통해 Holder 클래스의 초기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와 동시에 Holder 클래스의 초기화 단계에서 정적 필드 INSTANCE의 초기화가 단 한 번만 일어납니다.

굳이 중첩 클래스를 사용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맞습니다. JLS에서 위와 같은 내용을 보장하므로 Singleton 클래스의 초기화는 Singleton 클래스의 '정적 메서드' 혹은 '상수 변수가 아닌 정적 필드'를 사용하는 게 아닌 이상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작성해도 지연 초기화처럼 동작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싱글턴에는 공개된 정적 메서드가 getInstance() 하나뿐이므로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
}

만약에 getInstance() 이외의 공개된 정적 메서드가 있다면 Holder 중첩 클래스를 만드는 게 적절하지만 그런 사례를 좀처럼 떠올려 볼 수가 없네요.

열거형을 사용하는 방법

이번 방법은 바로 조슈아 블로치(Joshua Bloch)가 이펙티브 자바에서 소개한 열거형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소개한 방법 중에 가장 간결하고 완벽한 방법이며 이 방법을 통해 리플렉션 API를 통해 인스턴스를 만드려는 시도를 손쉽게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다가 추가적인 노력 없이 직렬화할 수도 있습니다. Enum을 공식 문서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열거형에는 열거형 상수를 통해 정의된 인스턴스 이외의 인스턴스는 없습니다. 열거형을 명시적으로 인스턴스화하려고 시도하면 컴파일 타임 에러가 발생합니다. 컴파일 타임 에러 외에도 아래 세 가지 메커니즘이 열거형 상수를 통해 정의된 인스턴스 이외의 열거형 인스턴스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장합니다.

- Enum의 final clone() 메서드를 통해 열거 상수를 복제할 수 없음을 보장한다.
(추가: 복제하려고 하면 CloneNotSupportedException 예외를 던진다.)
- 직렬화 메커니즘을 통한 특수 처리로 역직렬화의 결과로 중복 인스턴스가 생성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 리플렉션을 통해 열거형을 인스턴스화하는 것은 금지된다.

조금은 코드가 어색해보일 수 있지만 여태껏 소개한 방법 중에 가장 완벽한 방법입니다. 열거형에서도 이미 봤겠지만 열거형은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을 수 없으므로, 클래스 상속이 필요하다면 이 방법은 사용할 수 없으니 참고합시다.

public enum Singleton {
	INSTANCE;

	...
}

위를 좀 더 익숙한 코드로 바꾸면 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 코드는 동작하지 않으니 참고만 하자.
final class Singleton extends Enum<Singleton> {
	public static final INSTANCE = new Singleton();
	...
}

문제점

싱글턴 패턴은 보통 객체의 유일성이 아니라 전역 접근, 즉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과도하게 오용할 때 문제가 됩니다. 주로 이 패턴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테스트하기가 어렵다

정적 필드는 한번 할당되면 보통은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전까지 계속 살아있게 됩니다. 각 테스트는 독립적, 즉 다른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는데 한 테스트에서 싱글턴 객체가 만들어지면 그 이후의 다른 테스트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가 아닌 클래스를 통해 구현되는 싱글턴은 목(mock)으로 대체할 수 없으므로 단위 테스트를 매우 까다롭게 만듭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이하 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보통 DI 프레임워크가 싱글턴 객체의 생성을 제어합니다.

데이터 경쟁이 일어나기 쉽다

이는 굳이 싱글턴 패턴이 아니더라도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공유할 수 있는 상태(쉽게 말해서 필드)를 가지고 있으면 항상 조심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싱글턴이 상태를 가지고 있다면 상황이 더 복잡해지며,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는 공유 변수 접근 시 적절하게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경쟁 상태(race condition)가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변경에 취약해진다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으므로 싱글턴의 구조나 동작에 변경이 일어나면 싱글턴에 의존하고 있는 클래스에서도 역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긴밀하게 연결된 관계는 테스트가 어렵다는 문제점으로도 이어집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