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
31편. 람다식(Lambda expression)
31편. 람다식(Lambda expression)
2022.02.22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람다식을 이해하기 전에 함수형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ational Interface)란 하나의 추상 메서드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자바 8 이후에 추가되었으며, 이를 SAM 인터페이스(Single Abstract Method interface)라고도 부릅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레드에서 살펴봤던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Runnable { public abstract void run(); } @FunctionalInterface 자바 8 이후부터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Functio..
33편. 애노테이션(Annotation)
33편. 애노테이션(Annotation)
2022.02.18애노테이션(Annotation) 애노테이션은 소스 코드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 즉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주석(comments)과 마찬가지로 코드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클래스, 메서드, 변수, 매개변수 등에 애노테이션을 달 수 있으며, 애노테이션은 아래와 같이 문자 @로 시작합니다. @Override public void foo() { // ... } 보통은 리플렉션과 같이 활용되며, 문서, 컴파일러 혹은 IDE, 테스트 프레임워크(JUnit, JCStress 등)나 ORM(Hibernate, JPA 등)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서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애노테이션의 위치 애노테이션이 들어갈 수 있는 위치는 상당히 다양합니다. ..
29편. 제네릭(Generic)
29편. 제네릭(Generic)
2022.02.06여기서 컬렉션을 몰라도 크게 지장은 없으나 예제에서 사용된 List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컬렉션 편이랑 같이 병행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제네릭(Generic) 타입 안정성(type safety) 제네릭의 주 목적은 바로 타입 안정성을 제공하고 타입 캐스팅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코드를 생각해봅시다. 리스트에 값을 추가할 때는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리스트에서 값을 꺼낼 때는 컴파일러가 꺼낸 값이 무슨 타입인지 모르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캐스팅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여기서 캐스팅을 잘못하면 캐스팅을 할 수 없다는 런타임 예외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123); list.add("가나다"); // 타..
28편. 중첩 클래스(Nested Class)
28편. 중첩 클래스(Nested Class)
2022.02.06중첩 클래스(Nested classes) 중첩 클래스는 말 그대로 클래스 내에 정의된 클래스를 말합니다. 어떤 클래스가 한 곳에서만 쓰인다면 아래와 같이 해당 클래스를 중첩시키고 두 클래스를 한꺼번에 관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class OuterClass { // 외부 클래스 // ... class NestedClass { // 중첩 클래스 // ... } } 중첩 클래스는 다시 static으로 선언되지 않은 중첩 클래스인 내부 클래스(inner class)와 static으로 선언된 중첩 클래스인 정적 클래스(static class)로 나뉩니다. 여기서는 두 용어를 구분하도록 하겠습니다. class OuterClass { // 외부 클래스 // ... class InnerClass { // 내부 클래스..
27편. 스레드(Thread) (3)
27편. 스레드(Thread) (3)
2022.02.05이 글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보려면 암호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