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Github Copilot: 개발자를 위한 AI 기반의 강력한 자동 완성 도구
Github Copilot: 개발자를 위한 AI 기반의 강력한 자동 완성 도구
2022.03.30소개 전세계의 개발자들은 오늘도 비슷한 구조의 코드를 작성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코드 편집기에서는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편의성 단축키와 스니펫, 자동 완성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합니다. 물론 이런 기능들이 많은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반복되는 구조의 코드를 작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들어가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코드의 맥락을 읽고 그 뒤에 이어질 수 있는 여러 코드들을 제안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바로 Github Copilot(이하 코파일럿)이 그런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코파일럿은 수십억 줄에 달하는 공용 저장소의 코드를 훈련 데이터로 사용해서 코드의 맥락을 읽고 적절한 코드를 제시함으로써 개발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31편. 람다식(Lambda expression)
31편. 람다식(Lambda expression)
2022.02.22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람다식을 이해하기 전에 함수형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ational Interface)란 하나의 추상 메서드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자바 8 이후에 추가되었으며, 이를 SAM 인터페이스(Single Abstract Method interface)라고도 부릅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레드에서 살펴봤던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Runnable { public abstract void run(); } @FunctionalInterface 자바 8 이후부터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Functio..
33편. 애노테이션(Annotation)
33편. 애노테이션(Annotation)
2022.02.18애노테이션(Annotation) 애노테이션은 소스 코드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 즉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주석(comments)과 마찬가지로 코드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클래스, 메서드, 변수, 매개변수 등에 애노테이션을 달 수 있으며, 애노테이션은 아래와 같이 문자 @로 시작합니다. @Override public void foo() { // ... } 보통은 리플렉션과 같이 활용되며, 문서, 컴파일러 혹은 IDE, 테스트 프레임워크(JUnit, JCStress 등)나 ORM(Hibernate, JPA 등)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서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애노테이션의 위치 애노테이션이 들어갈 수 있는 위치는 상당히 다양합니다. ..
29편. 제네릭(Generic)
29편. 제네릭(Generic)
2022.02.06여기서 컬렉션을 몰라도 크게 지장은 없으나 예제에서 사용된 List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컬렉션 편이랑 같이 병행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제네릭(Generic) 타입 안정성(type safety) 제네릭의 주 목적은 바로 타입 안정성을 제공하고 타입 캐스팅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코드를 생각해봅시다. 리스트에 값을 추가할 때는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리스트에서 값을 꺼낼 때는 컴파일러가 꺼낸 값이 무슨 타입인지 모르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캐스팅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여기서 캐스팅을 잘못하면 캐스팅을 할 수 없다는 런타임 예외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123); list.add("가나다"); // 타..
28편. 중첩 클래스(Nested Class)
28편. 중첩 클래스(Nested Class)
2022.02.06중첩 클래스(Nested classes) 중첩 클래스는 말 그대로 클래스 내에 정의된 클래스를 말합니다. 어떤 클래스가 한 곳에서만 쓰인다면 아래와 같이 해당 클래스를 중첩시키고 두 클래스를 한꺼번에 관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class OuterClass { // 외부 클래스 // ... class NestedClass { // 중첩 클래스 // ... } } 중첩 클래스는 다시 static으로 선언되지 않은 중첩 클래스인 내부 클래스(inner class)와 static으로 선언된 중첩 클래스인 정적 클래스(static class)로 나뉩니다. 여기서는 두 용어를 구분하도록 하겠습니다. class OuterClass { // 외부 클래스 // ... class InnerClass { // 내부 클래스..
27편. 스레드(Thread) (3)
27편. 스레드(Thread) (3)
2022.02.05이 글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보려면 암호가 필요합니다.
26편. 스레드(Thread) (2)
26편. 스레드(Thread) (2)
2022.01.27경쟁 상태(race condition) wait() & notify() wait() 메서드를 호출한 스레드는 획득한 락을 포기하고 대기 상태에 들어가며 다른 스레드가 동일한 객체의 락을 얻은 뒤 notify()나 notifyAll() 메서드를 호출할 때까지 깨어나지 않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락을 얻지 않은 상태에서 wait(), notify(), notifyAll() 메서드를 호출하면 IllegalMonitorStateExcep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 다른 스레드보다 락을 빠르게 얻기 위해서 경쟁 중인 스레드는 EntryList에 있습니다. 그 중 한 스레드가 객체의 락을 얻어서 실행 상태로 들어갔다가 wait() 메서드를 만나면 락을 포기하고 대기 상태로 들어가 WaitSet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정리. 프로세스(Process)
정리. 프로세스(Process)
2022.01.24이 글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보려면 암호가 필요합니다.
정리. JVM의 힙 영역 살펴보기
정리. JVM의 힙 영역 살펴보기
2022.01.22이 글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보려면 암호가 필요합니다.
정리. SOLID 원칙
정리. SOLID 원칙
2022.01.21이 글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보려면 암호가 필요합니다.
14편. 문자열(String)
14편. 문자열(String)
2022.01.15String 클래스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일련의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열 리터럴을 담을 문자열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어렴풋이 짐작하신 분들도 있겠지만 문자열 리터럴은 큰따옴표(")로 둘러싸서 표현합니다. 소괄호 안에 들어간 문자열 리터럴은 생성자로 넘어가는데, 아직은 생성자를 배우지 않았으므로 가볍게 보고 넘어가주세요. 덧붙여서, 문자열을 저장할 때 아래와 같은 방법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곧 밝혀집니다. String a = new String("Hello");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도 문자열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이 상당히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특별하게 문자열에만 적용되는 규칙들이 많은데, 그 중에 하나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의 ..
번외. JVM의 구조 살펴보기
번외. JVM의 구조 살펴보기
2022.01.12이 글은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보려면 암호가 필요합니다.